위험물기능장 필기,실기 준비(자격증)

위험물의 배합실 설치 기준

제너럴 2022. 6. 16. 05:50
728x90
반응형

1.바닥면적은 6㎡ 이상 15㎡ 이하일 것

2.내화구조 또는 불연재료로 된 벽으로 구획

3.바닥은 위험물이 침투하지 아니하는 구조로 하여 적당한 경사를 두고 집유설비를 할 것

4.출입구에는 자동폐쇄식의 갑종방화문을 설치

5.출입구 문턱의 높이는 바닥면으로부터 0.1m 이상으로 할 것.

6.내부에 체류한 가연성의 증기 또는 가연성의 미분을 지붕위로 방출하는 설비를 할 것.

더보기

1.위험물의 품명, 위험등급,화학명 및 수용성 (제4류 위험물의 수용성인 것에 한함)

2.위험물의 수량

3.수납하는 위험물에 따른 주의사항

류 별 성질에 따른 구분 표시사항
제1류 위험물 알칼리금속의 과산화물 화기.충격주의, 물기엄금 및 가연물 접촉주의
  그 밖의 것 화기,충격주의, 가연물 접촉주의
제2류 위험물 철분,금속분,마그네슘 화기주의 및 물기엄금

  인화성고체 화기엄금
  그 밖의 것 화기주의
제3류 위험물 자연발화성물질 화기엄금 및 공기접촉 엄금
  금수성물질 물기엄금
제4류 위험물 인화성액체 화기엄금
제5류 위험물 자기반응성 물질 화기엄금 및 충격주의
제6류 위험물  산화성 액체  가연물 접촉주의

폭굉과 폭연의 차이점

1.폭굉: 연소속도가 음속보다 빠르다(초음속) 디토네이션

2.폭연: 연소속도가 음속보다 느리다.(아음속) 디플러그레이션

폭굉유도거리(DID)가 짧아지는 경우

1.압력이 상승하는경우

2.관속에 방해물이 있거나 관경이 작아지는 경우

3.점화원 에너지가 증가하는 경우

위험물 취급 중 제조에 관한 다음의 기준

1.증류공정

--위험물을 취급하는 설비의 내부압력의 변동 등에 의하여 액체 또는 증기가 새지 아니하도록 할 것

2.추출공정= 추출관의 내부압력이 비정상으로 상승하지 아니하도록 할 것

3.건조공정 = 위험물의 온도가 국부적으로 상승하지 아니하는 방법으로 가열 또는 건조할 것

4.분쇄공정 = 위험물의 분말이 현저하게 부유하고 있거나 위험물의 분말이 현저하게 기계,기구 등에 부착하고 있는 상태로 그 기계,기구를 취급하지 아니할 것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