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 = p1 + p2 + p3 + 0.35(Mpa)
P : 필요한 압력(Mpa)
p1 : 소방용 호스의 마찰손실수두압(Mpa)
p2 : 배관의 마찰손실수두압(Mpa)
p3 : 낙차의 환산수두압(Mpa)
Q.자연발화를 일으킬 수 있는 영향인자 5가지
A.1.열의 축척 2.퇴적방법 3.열전도율 4.발열량 5. 수분
소화기구(자동소화장치를 제외)는 거주자 등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소에 바닥으로부터 높이 1.5M 이하의 높이에 비치하고, 소화기에 있어서는 소화기, 투척용소화용구에 있어서는 "투척용소화용구", 마른모래에 있어서는 소화용모래, 팽창진주암 및 팽창질석에 있어서는 소화질석이라고 표시한 표지를 보기 쉬운 곳에 부착할 것.
소화기 설치기준
1.각층마다 설치하되,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1개의 소화기까지의 보행거리가 소형소화기의 경우에는 20M이내, 대형소화기의 경우에는 30M 이내가 되도록 배치할 것.
2.특정소방대상물의 각층이 2 이상의 거실로 구획된 경우에는 각 층마다 설치하는것외에 바닥면적이 33㎡ 이상으로 구획된 각 거실(아파트의 경우에는 각 세대)에도 배치할 것
3.소화기구(자동소화장치를 제외)는 거주자 등이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장소에 바닥으로부터 높이 1.5M 이하의 곳에 비치하고, 소화기에 있어서는 "소화기", 투척용소화용구에 있어서는 "투척용소화용구" , 마른모래에 있어서는 "소화용마른모래"
팽창질석 및 팽창진주암에 있어서는 "소화질석"이라고 표시한 표지를 보기 쉬운곳에 부착할 것
Q.제1류 위험물인 과망간산칼륨은 흑자색의 결저이다. 결정의 구조를 쓰시오
A.사방정계
액체 위험물의 누설을 검사하기 위한 관
1.이중관으로 할 것.다만 소공이 없는 상부는 단관으로 할 수 있다.
2.재료는 금속관 또는 경질합성수지관으로 할 것
3.관은 탱크전용실의 바닥 또는 탱크의 기초까지 닿게 할 것
4.관의 밑부분으로부터 탱크의 중심 높이까지의 부분에는 소공이 뚫려 있을 것 다만,지하수위가 높은 장소에 있어서는 지하수위 높이까지의 부분에 소공이 뚫려 있어야 한다.
5.상부는 물이 침투하지 아니하는 구조로 하고, 뚜껑은 검사시에 쉽게 열 수 있도록 할 것
'위험물기능장 필기,실기 준비(자격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험물제조소 등의 설치허가를 취소하거나 6개월이내의 기간을 정하여 전부 또는 일부의 사용정지를 명할 수 있는 경우 (8) | 2022.06.20 |
---|---|
위험물을 취급하는 건축물의 구조기준 (7) | 2022.06.19 |
신속평형법인화점측정기에 의한 인화점 측정시험 (7) | 2022.06.17 |
위험물의 배합실 설치 기준 (11) | 2022.06.16 |
인화성고체, 제1석유류 또는 알코올류의 옥외저장소 특례 (8) | 2022.06.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