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1329

자동화재속보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 방재실 등 화재 수신기가 설치된 장소에 24시간 화재를 감시할 수 있는 사람이 근무하고 있는 경우에는 자동화재속보설비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1) 노유자 생활시설 2) 노유자 시설로서 바닥면적이 500제곱미터 이상인 층이 있는 것 3) 수련시설(숙박시설이 있는 것만 해당한다)로서 바닥면적이 500제곱미터 이상인 층이 있는 것 4) 문화재 중 (문화재보호법) 제23조에 따라 보물 또는 국보로 지정된 목조건축물 5) 근린생활시설 중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시설 가) 의원, 치과의원 및 한의원으로서 입원실이 있는 시설 나) 조산원 및 산후조리원 6) 의료시설 중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 가) 종합병원, 병원, 치과병원, 한방병원 및 요양병원(의료재활시설은 제외한다) 나) 정신병원 및 의료재..

비상방송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1) 연면적 3천5백제곱미터 이상인 것은 모든 층 2) 층수가 11층 이상인 것은 모든 층 3) 지하층의 층수가 3층 이상인 것은 모든 층"확성기"란 소리를 크게 하여 멀리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써 일명 스피커를 말한다."풀박스"란 장거리 케이블 포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선관 중간에 설치하는 상자형 구조물 등을 말한다.자동화재탐지설비의 중계기 설치기준1. 수신기에서 직접 감지기회로의 도통시험을 하지 않는 것에  있어서는 수신기와 감지기 사이에 설치할 것2. 조작 및 점검에 편리하고 화재 및 침수 등의 재해로 인한 피해를 받을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할 것3. 수신기에 따라 감시되지 않는 배선을 통하여 전력을 공급받는 것에 있어서는 전원입력측의 배선에 과전류 차단기를 설치하고 해당 전원의 정..

비상방송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1) 연면적 3천5백제곱미터 이상인 것은 모든 층 2) 층수가 11층 이상인 것은 모든 층 3) 지하층의 층수가 3층 이상인 것은 모든 층"확성기"란 소리를 크게 하여 멀리까지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로써 일명 스피커를 말한다."풀박스"란 장거리 케이블 포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전선관 중간에 설치하는 상자형 구조물 등을 말한다.

비상경보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모래.석재 등 불연재료 공장 및 창고시설, 위험물 저장.처리 시설 중 가스시설, 사람이 거주하지 않거나 벽이 없는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것으로 한다. 1) 연면적 400제곱미터 이상인 것은 모든 층 2) 지하가 중 무창층의 바닥면적이 150제곱미터 (공연장의 경우 100제곱미터) 이상인 것은 모든 층 3)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가 500미터 이상인 것 4) 50명 이상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옥내 작업장 * "비상벨설비"란 화재발생 상황을 사이렌으로 경보하는 설비 * " 자동식사이렌설비"란 화재발생 상황을 사이렌으로 경보하는 설비 * "단독경보형감지기"란 화재발생 상황을 단독으로 감지하여 자체에 내장된 음향장치로 경보하는 감지기

고체에어로졸소화설비(NFTC 110)

설치제외1. 고체에어로졸소화설비는 다음의 물질을 포함한 화재 또는 장소에는 사용할 수 없다. 다만, 그 사용에 대한 국가 공인시험기관의 인증이 있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1-1. 니트로셀룰로오스, 화약 등의 산화성 물질 1-2. 리튬,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티타늄, 지르코늄, 우라늄 및 플라토늄과 같은 자기반응성 금속 1-3. 금속 수소화물 1-4. 유기 과산화수소, 히드라진 등 자동 열분해를 하는 화학물질 1-5. 가연성 증기 또는 분진 등 폭발성 물질이 대기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장소

옥외소화전설비 화재안전기술기준 NFTC 109

옥외소화전설비용 수조 설치기준1. 점검에 편리한 곳에 설치할 것 2. 동결방지조치를 하거나 동결의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할 것3. 수조의 외측에 수위계를 설치할 것. 다만, 구조상 불가피한 경우에는 수조의 맨홀등을 통하여 수조안의 물의 양을 쉽게 확인할 수있도록 해야 한다.4.수조의 상단이 바닥보다 높은 때에는 수조의 외측에 고정식 사다리를 설치할 것5. 수조가 실내에 설치된 때에는 그 실내에 조명설비를 설치할 것 6. 수조의 밑 부분에는 청소용 배수밸브 또는 배수관을 설치할 것 7. 수조의 외측의 보기 쉬운 곳에 "옥외소화전설비용 수조"라고 표시한 표지를 설치할 것. 이 경우 그 수조를 다른 설비와 겸용하는 때에는 그 겸용되는 설비의 이름을 표시한 표지를 함께 해야 한다.8. 소화설비용 흡수배관 또는..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술기준

음향장치 구조 및 성능 1. 정격전압의 80% 전압에서 음향을 발할 수 있는 것을 할 것 2. 자동화재탐지설비의 작동과 연동하여 작동할 수 있는 것으로 할 것비상방송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1) 연면적 3,500㎡ 이상인 것은 모든층 2) 층수가 11층 이상인 것은 모든 층 3) 지하층의 층수가 3층 이상인 것은 모든 층

비상경보설비

비상경보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특정소방대상물 - 모래. 석재 등 불연재료 공장 및 창고시설, 위험물 저장.처리 시설 중 가스시설, 사람이 거주하지 않거나 벽이 없는 축사 등 동물 및 식물관련 시설 및 지하구는 제외한다 1. 연면적 400㎡ 이상인 것은 모든 층 2. 지하가 중 무창층의 바닥면적이 150㎡(공연장의 경우 100㎡)이상인 것은 모든 층 3. 지하가 중 터널로서 길이가 500m 이상인 것 4. 50명 이상의 근로자가 작업하는 옥내 작업장

고체에어로졸소화설비 설치제외

- 고체에어로졸소화설비는 다음의 물질을 포함한 화재 또는 장소에는 사용할 수 없다. 다만, 그 사용에 대한 국가공인시험기관의 인증이 있는 경우에는 그렇지 않다. 1. 니트로셀룰로오스, 화약 등의 산화성 물질 2. 리튬, 나트륨, 칼륨, 마그네슘, 티타늄, 지르코늄, 우라늄 및 플라토늄과 같은 자기반응성 금속 3. 금속수소화물 4. 유기과산화수소, 히드라진 등 자동 열분해를 하는 화학물질 5. 가연성 증기 또는 분진 등 폭발성 물질이 대기에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장소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