옥내소화전설비의 함 설치기준 옥내소화전설비의 함 설치기준 1) 함의 두께 : 두께 1.5mm 이상의 강판 또는 4mm 이상의 합성수지재 2) 문짝의 면적 : 0.5㎡ 이상(짧은 변의 길이가 500mm 이상) 3) 함의 재질 ⓐ 강판 : 염수분무시험방법(KS D 9502)에 의하여 시험한 경우 변색 또는 부식되지 아니할 것 ⓑ 합성수지재 : 내열성 및 난연성으로 80℃의 온도에서 2시간 이내에 열로 인한 변형이 생기지 아니할 것 소방설비 기계기사 필기,실기 준비(자격증) 2023.04.10
베르누이정리의 조건 베르누이정리의 조건 1. 정상유동(정상류) 2. 비압축성유체 3. 마찰이 없을 때(비점성 흐름) 4. 유선에 따라 유동 *금속화재 1. 물에 의한 소화는 절대로 금한다.(수소기체 발생) 2. 마른모래의 질식, 피복효과이다. 3. 알킬알루미늄은 팽창질석이나 팽창진주암으로 소화한다. 소방시설관리사 2023.04.09
인간의 피난행동 특성 인간의 피난행동 특성 지광본능 - 연기와 정전 등으로 가시거리가 짧아져 시야가 흐려지거나 밀폐공간에서 공포 분위기가 조성될 때 개구부 등의 불빛을 따라 행동하는 본능 직진성 본능 - 똑바로 계단과 통로를 선택하던가 부딪힐 때까지 직진하려는 경향 이성적 안전지향성 본능 - 안전하다고 생각되는 경로로 피난하려는 경향 *계단의 내화구조 1. 철근콘크리트조 또는 철골철근콘크리트조 2. 무근콘크리트조 .콘크리트블록조, 벽돌조 또는 석조 3. 철재로 보강된 콘크리트블록조. 벽돌조 또는 석조 4. 철골조 소방시설관리사 2023.04.08
최소발화에너지(MIE) 최소발화에너지(Minimum Ignition Enerage : MIE) - 가연성가스나 액체의 증기 또는 폭발성분진이 공기 중에 있을 때, 이것을 발화시키는데 필요한 최저의 에너지이며 단위는 mJ(밀리 줄)을 사용한다. 1. 최소발화에너지는 온도가 높을수록 낮아진다. 2. 최소발화에너지는 압력이 높을수록 낮아진다. 3. 최소발화에너지는 산소의 분압이 높아지면 낮아진다. 4. 최소발화에너지는 화학양론비 부근에서 가장 낮다. 5. 연소속도가 빠를수록 낮아진다. 소방시설관리사 2023.04.07
스프링클러설비 스프링클러설비 물음.폐쇄형헤드와 개방형헤드의 기능상 차이점 폐쇄형헤드 : 헤드의 방수구가 폐쇄된 상태로 감열부가 있다. 개방형헤드 : 헤드의 방수구가 개방된 상태로 감열부가 없다. 물음. 폐쇄형헤드와 개방형헤드를 사용하는 설비의 종류 폐쇄형헤드 : 습식스프링클러설비, 부압식스프링클러설비, 건식스프링클러설비, 준비작동식스프링클러설비 개방형헤드 : 일제살수식스프링클러설비 소방설비 기계기사 필기,실기 준비(자격증) 2023.04.06
옥내소화전설비의 송수구 설치기준 옥내소화전설비의 송수구 설치기준 1. 송수구는 소방차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잘 보이는 장소에 설치하되 화재층으로부터 지면으로 떨어지는 유리창 등이 송수 및 그 밖의 소화작업에 지장을 주지 아니하는 장소에 설치할 것 2. 송수구로부터 주배관에 이르는 연결배관에는 개폐밸브를 설치하지 아니할 것. 단, 스프링클러설비. 물분무소화설비. 포소화설비 또는 연결송수관 설비의 배관과 겸용하는 경우에는 그러하지 아니하다. 3. 지면으로부터 0.5m 이상 1m 이하의 위치에 설치할 것 4. 구경 65mm의 쌍구형 또는 단구형으로 할 것 5. 송수구의 가까운 부분에 자동배수밸브(또는 직경 5mm의 배수공) 및 체크밸브를 설치할 것. 이경우 자동배수밸브는 배관 안의 물이 잘 빠질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고 배수로 인하여 다른.. 소방설비 기계기사 필기,실기 준비(자격증) 2023.04.05
옥내소화전설비 수조의 설치기준 옥내소화전설비 수조의 설치기준 1. 점검에 편리한 곳에 설치할 것 2. 동결방지조치를 하거나 동결의 우려가 없는 장소에 설치할 것 3. 수조의 외측에 수위계를 설치할 것. 단, 구조상 불가피한 경우에는 수조의 맨홀 등을 통하여 수조 안의 물의 양을 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4. 수조의 상단이 바닥보다 높은 때에는 수조의 외측에 고정식 사다리를 설치할 것. 5. 수조가 실내에 설치된 때에는 그 실내에 조명 설비를 설치할 것 6. 수조의 밑 부분에는 청소용 배수밸브 또는 배수관을 설치할 것 7. 수조의 외측의 보기 쉬운 곳에 " 옥내소화전설비용 수조"라고 표시한 표지를 할 것. 이 경우 그 수조를 다른 설비와 겸용하는 때에는 그 겸용되는 설비의 이름을 표시한 표지를 함께 하여야 한다. 8. 옥내.. 소방설비 기계기사 필기,실기 준비(자격증) 2023.04.04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501A) 1. 제연설비가 가동되었을 경우 출입문의 개방에 필요한 힘은 110N 이하 2. 제연구역과 옥내와의 사이에 유지하여야 하는 최소 차압은 40Pa (옥내에 스프링클러설비가 설치된 경우에는 12.5Pa) 이상 *피난설비는 피난기구와 인명구조기구로 나뉜다. 인명구조기구의 종류 = 방열복 또는 방화복(헬멧, 보호장갑 및 안전화를 포함), 공기호흡기, 인공소생기 소방설비 기계기사 필기,실기 준비(자격증) 2023.04.03
포헤드(포워터스프링클러헤드 및 포헤드) 포헤드의 방식 소방대상물 수원의 양 차고,주차장 및 항공기 격납고 *포워터스프링클러설비 : 포워터스프링클러헤드수 *75ℓ/분 *10분 *포헤드설비 : 바닥면적(200㎡ 이상인 경우 200) * 표준방사량(K값)*10분 단백포 = 6.5리터 이상 합성계면활성제포 = 8리터 이상 수성막포 = 3.7리터 이상 특수가연물 저장. 취급장소 단백포 = 6.5리터 이상 합성계면활성제포 = 6.5리터 이상 수성막포 = 6.5리터 이상 포소화설비 : 물에 의한 소화방법으로는 소화효과가 작거나 화재가 확대될 위험성이 있는 가연성 액체등의 화재에 사용하는 설비 소방설비 기계기사 필기,실기 준비(자격증) 2023.04.02
할론 소화설비의 배관 할론 소화설비의 배관 - 하나의 구역을 담당하는 소화약제 저장용기의 소화약제량의 체적합계보다 그 소화약제 방출 시 방출경로가 되는 배관(집합관 포함)의 내용적이 1.5배 이상일 경우 당해 방호구역에 대한 설비는 별도 독립방식으로 하여야 한다. 할론 1301 소화약제의 저장량 소방대상물 방호구역의 소요약제량 개구부 가산량 (자동폐쇄장치 미설치시) 차고,주차장,전기실,통신기기실,전산실 기타 이와 유사한 전기설비가 설치되어 있는 부분 0.32kg/㎥ 2.4kg/㎡ * 약제장량(kg) = 방호구역체적(㎥) *소요약제량(kg/㎥) + 개구부면적(㎡)*개구부가산량(kg/㎡) 소방설비 기계기사 필기,실기 준비(자격증) 2023.04.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