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스프링클러설비 12

전기저장시설의 화재안전기술기준

스프링클러설비1. 스프링클러설비는 다음의 기준에 따라 설치해야 한다. 다만, 배터리실 외의 장소에는 스프링클러헤드를 설치하지 않을 수 있다. 1-1. 스프링클러설비는 습식스프링클러설비 또는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신속한 작동을 위해 "더블인터락 " 방식은 제외한다)로 설치할 것 1-2. 전기저장장치가 설치된 실의 바닥면적(바닥면적이 230제곱미터 이상인 경우에는 230제곱미터) 1제곱미터에 분당 12.2리터퍼분이상의 수량을 균일하게 30분이상 방수할 수 있도록 할 것 1-3. 스프링클러헤드의 방수로 인해 인접 헤드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스프링클러헤드 사이의 간격을 180센티미터 이상 유지할 것. 이 경우 헤드 사이의 최대간격은 스프링클러설비의 소화성능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간격 이내로 해야..

스프링클러설비- 전원 점검항목

https://blog.naver.com/heriw/223701753674 스프링클러설비 - 송수구 점검항목스프링클러설비 - 송수구 점검항목 ○ 설치장소 적정 여부 ● 연결배관에 개폐밸브를 설치한 경우 개폐상태...blog.naver.com스프링클러설비- 전원 점검항목● 대상물 수전방식에 따른 상용전원 적정 여부● 비상전원 설치장소 적정 및 관리 여부○ 자가발전설비인 경우 연료 적정량 보유 여부○ 자가발전설비인 경우 (전기사업법)에 따른 정기점검 결과 확인

스프링클러헤드- 헤드 점검항목

스프링클러헤드- 헤드 점검항목○ 헤드의 변형. 손상 유무○ 헤드 설치 위치. 장소. 상태(고정) 적정 여부○ 헤드 살수장애 여부● 무대부 또는 연소우려 있는 개구부 개방형 헤드 설치 여부● 조기반응형 헤드 설치 여부(의무 설치 장소의 경우)● 경사진 천장의 경우 스프링클러헤드의 배치 상태● 연소할 우려가 있는 개구부 헤드 설치 적정 여부● 습식. 부압식 스프링클러설비 외의 설비 상향식 헤드 설치 여부● 측벽형 헤드 설치 적정 여부● 감열부에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는 헤드의 차폐판 설치 여부

스프링클러설비 - 가압송수장치 점검항목

(펌프방식)● 동결방지조치 상태 적정 여부○ 성능시험배관을 통한 펌프 성능시험 적정 여부●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인 경우 펌프 성능 확보 가능 여부○ 펌프 흡입측 연성계. 진공계 및 토출측 압력계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기동장치 적정 설치 및 기동압력 설정 적정 여부● 물올림장치 설치적정 (전용여부, 유효수량, 배관구경, 자동급수)여부● 충압펌프 설치적정(토출압력, 정격토출량) 여부○ 내연기관 방식의 펌프 설치 적정(정상기동(기동장치 및 제어반)여부, 축전지상태, 연료량) 여부○ 가압송수장치의 "스프링클러펌프"표지설치 여부 또는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 이름 표시 부착 여부

스프링클러설비의 자체점검항목 중 가압송수장치의 종합점검항목

스프링클러설비의 자체점검항목 중 가압송수장치의 종합점검항목(펌프방식) ● 동결방지조치 상태적정 여부○ 성능시험배관을 통한 펌프 성능시험 적정 여부●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인 경우 펌프 성능 확보 가능 여부○ 펌프 흡입측 연성계. 진공계 및 토출측 압력계 등 부속장치의 변형.손상 유무● 기동장치 적정 설치 및 기동압력 설정 적정 여부○ 물올림장치 설치 적정(전용 여부, 유효수량, 배관구경, 자동급수) 여부● 충압펌프 설치 적정(토출압력, 정격토출량) 여부○ 내연기관 방식의 펌프 설치 적정(정상기동(기동장치 및 제어반) 여부, 축전지 상태, 연료량 여부○ 가압송수장치의 "스프링클러펌프" 표지설치 여부 또는 다른 소화설비와 겸용 시 겸용설비 이름 표시 부착 여부(고가수조방식) ○ 수위계, 배수관, 급수관, 오버..

스프링클러설비 송수구 작동점검

스프링클러설비 송수구 작동점검○ 설치장소 적정여부○ 송수압력 범위 표시 표지 설치 여부○ 송수구 마개 설치 여부스프링클러설비 송수구 종합점검● 연결배관이 개폐밸브로 설치한 경우 개폐상태 확인 및 조작가능 여부● 송수구 설치높이 및 구경 적정여부● 송수구 설치 개수 적정 여부(폐쇄형스프링클러설비인 경우)● 자동배수밸브(또는 배수공) 체크밸브 설치여부 및 설치상태 적정여부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