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화재안전기준 5

용어의 정의

1. "화재안전기준"이란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를 위한 다음 각 목의 기준 ㄱ. 성능기준 : 화재안전확보를 위하여 재료, 공간 및 설비 등에 요구되는 안전성능으로서 소방청장이 고시로 정하는 기준ㄴ. 기술기준 : 위 ㄱ에 따른 성능기준을 충족하는 상세한 규격, 특정한 수치 및 시험방법 등에 관한 기준으로서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절차에 따라 소방청장의 승인을 받은 기준2. "무창층" 지상층 중 다음 각 목의 요건을 모두 갖춘 개구부( 건축물에서 채광,환기.통풍 또는 출입 등을 위하여 만든 창. 출입구.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의 면적의 합계가 해당 층의 바닥면적(건축법 시행령 제119조제1항제3호에 따라 산정된 면적을 말한다.이하 같다)의 30분의1 이하가 되는 층을 말한다. 가. ..

용어의 정의

1. "화재안전기준"이란 소방시설 설치 및 관리를 위한 다음 각 목의 기준 ㄱ. 성능기준 : 화재안전확보를 위하여 재료, 공간 및 설비 등에 요구되는 안전성능으로서 소방청장이 고시로 정하는 기준ㄴ. 기술기준 : 위 ㄱ에 따른 성능기준을 충족하는 상세한 규격, 특정한 수치 및 시험방법 등에 관한 기준으로서 행정안전부령으로 정하는 절차에 따라 소방청장의 승인을 받은 기준2. "무창층" 지상층 중 다음 각 목의 요건을 모두 갖춘 개구부( 건축물에서 채광,환기.통풍 또는 출입 등을 위하여 만든 창. 출입구. 그 밖에 이와 비슷한 것을 말한다. 이하 같다)의 면적의 합계가 해당 층의 바닥면적(건축법 시행령 제119조제1항제3호에 따라 산정된 면적을 말한다.이하 같다)의 30분의1 이하가 되는 층을 말한다. 가. ..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

비상방송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202) 제5조(배선) ⓐ 화재로 인하여 하나이 층의 확성기 또는 배선이 단락 또는 단선되어도 다른 층의 화재통보에 지장이 없도록 할 것 ⓑ 전원회로의 배선은 옥내소화전설비의 화재안전기준(nfsc 102)에 따른 내화배선에 따르고, 그 밖의 배선은 옥내소화전설비의화재안전기준(nfsc 102)에 따른 내화배선 또는 내열배선으로 설치할 것 ⓒ 전원회로의 전로와 대지 사이 및 배선상호간의 절연저항은 (전기안전관리법)에 따른 기술기준이 정하는 바에 따르고, 부속회로의 전로와 대지 사이 및 배선 상호간의 절연저항은 1경계구역마다 직류 250V의 절연저항측정기를 사용하여 측정한 절연저항이 0.1㏁ 이상이 되도록 할 것 ⓓ 비상방송설비의 배선은 다른 전선과 별도의 관. 덕트(절연효..

광전식분리형 감지기의 설치기준

광전식분리형 감지기의 설치기준 1. 감지기의 수광면은 햇빛을 직접 받지 않도록 설치할 것 2. 광축은 나란한 벽으로부터 0.6m 이상 이격하여 설치할 것 3. 감지기의 송광부는 수광부는 설치된 뒷벽으로부터 1m 이내 위치에 설치할 것 4. 광축의 높이는 천장 등 높이의 80% 이상일 것 5. 감지기의 광축의 길이는 공칭감시거리 범위이내 일 것 "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 https://www.youtube.com/channel/UCPmzKIyIjJyG3fJQI7UC8lw H.I.W 우보천리.진인사 대천명 www.youtube.com https://blog.naver.com/heriw 도전 : 네이버 블로그 https://heriw.tistor..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