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소방설비 기계기사 필기,실기 준비(자격증) 191

부압식스프링클러설비

부압식스프링클러설비에서 준비작동식유수검지장치를 기준으로 1차측과 2차측의 배관 내 상태를 간단히 쓰시오. 1차측 : 배관내에 항상 정압의 물이 가압되어 있는 상태 2차측 : 배관내에 소화수가 부압으로 있는 상태 1.분말약제의 전역방출방식 종 별 체적계수k1(kg/㎥) 면적계수k2(kg/㎡) (자동폐쇄장치 미설치 시) 제1종 0.6 4.5 제2종,제3종 0.36 2.7 제4종 0.24 1.8

넉다운효과의 정의 및 넉다운효과가 일어나지 않는 이유

1.정의 : 분말약제 방출 후 10~20초 이내에 순식간에 화재를 진압하는 효과 2.넉다운효과가 일어나지 않는 이유 - 약제가 부족할 때 - 약제방사시간을 초과할 때 - 축압식 압력이 방출되었을 때 - 화재성상이 너무 클 때 - 금속화재일 경우 *단위체적당 소화약제의 양 및 충전비 제1종 분말- 0.6kg/㎥ - 개구부가산량 4.5kg/㎡ 충전비 0.8 제2,3종 분말- 0.36kg/㎥ - 개구부가산량 2.7kg/㎡ 충전비 1.0 제4종 분말- 0.24kg/㎥ - 개구부가산량 1.8kg/㎡ 충전비 1.25

포소화 설비 중 배액밸브를 설치하는 목적과 설치장소

설치목적 : 포 약제방출 후 배관안의 액을 배출하기 위하여 설치 장소 : 배관의 가장 낮은 부분에 설치 문)최대방수구역 바닥 면적이 100㎡인 주차장에 물분무소화설비를 하려고한다.수원의 저수량㎥은? 차고 / 주차장 = 바닥면적 (최대방수구역기준50㎡)* 20리터/㎡.분 *20min 100*20*20= 40,000리터 1㎥=1000리터 40㎥

정방형으로 헤드 설치 시 헤드 상호간 거리

정방형으로 헤드 설치 시 헤드 상호간 거리 S = 2rcos45' 설치장소 수평거리(r) 무대부, 특수가연물 1.7m 이하 비내화구조 2.1m 이하 내화구조 2.3m 이하 랙크식 창고 2.5m 이하 아파트 3.2m 이하 성능시험배관의 설치목적 = 펌프성능이 정격 토출량의 150%로 운전시 정격토출압력이 65% 이상이 되는가 확인하기 위하여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주요구성부품 중 하나인 P.O.R.V(Pressure Operated Relief Valve)에 대하여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의 주요구성부품 중 하나인 P.O.R.V(Pressure Operated Relief Valve)에 대하여 1.작동원리 = 2차측 가압수가 피스톤을 눌러 중간챔버로 가는 배관을 폐쇄시켜 중간챔버의 압력을 낮은 상태로 유지되며 밸브가 열린상태로 유지된다. 2.설치하지 않을경우 문제점 = 작동된 준비작동식밸브가 1차측 가압수의 압력으로 인해 다시 복구(시트 닫힘)될 수 있음

이산화탄소소화설비에서 솔레노이드(전자개방)밸브를 작동시키는 방법

이산화탄소소화설비에서 솔레노이드(전자개방)밸브를 작동시키는 방법 1.방호구역 내 감지기 2개회로 작동 2.수동조작함의 수동조작스위치 작동 3.제어반의 동작시험스위치와 회로선택스위치 작동 4.제어반의 수동스위치 작동 5.솔레노이드밸브의 수동조작버튼 작동 이산화탄소 소화설비용으로 강관을 사용할 때의 배관기준 = 강관을 사용하는 경우의 배관은 압력배관용 탄소강관(KS D3562)중 스케줄 80(저압식은 스케줄40)이상의 것 또는 이와 동등 이상의 강도를 가진 것으로 아연도금 등으로 방식처리된 것을 사용할 것. 단, 배관의 호칭구경이 20mm 이하인 경우에는 스케줄 40 이상인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제연구역의 선정기준4가지

특별피난계단의 계단실 및 부속실 제연설비의 제연구역의 선정기준4가지 1.계단실 및 그 부속실을 동시에 제연하는 것 2.부속실만을 단독으로 제연하는 것 3.계단실만을 단독으로 제연하는 것 4.비상용승강기의 승강장만을 단독 제연하는 것 문)토너먼트 배관방식을 일반적으로 적용하기 유리한 소화설비 4가지 = 이산화탄소소화설비, 할론 소화설비, 할로겐화합물 및 불활성기체소화설비, 분말 소화설비

압력스위치의 의미

수계 소화설비에 사용되는 기동용 수압개폐장치에 설치된 압력스위치의 Range 와 Diff 의 의미 1.Range : 펌프의 작동 중단점(주펌프 제외) 2.Diff : Range에 설정된 압력에서 Diff에 설정된 압력만큼 떨어지면 펌프가 다시 작동되는 압력의 차이 문)기동용 수압개폐장치 중 압력챔버의 기능 1.주펌프의 자동기동, 충압펌프의 자동기동 및 정지 2.수격작용 등 압력변동에 따른 설비보호 3.배관 내로 압축공기를 공급하여 압력을 유지하는 에너지 공급원 문)압력챔버에 설치하는 안전밸브의 작동범위 = 호칭압력과 호칭압력의 1.3배의 범위

탬퍼스위치의 설치목적과 설치해야 하는 위치

탬퍼스위치의 설치목적과 설치해야 하는 위치 1.설치목적 : 급수배관에 설치하여 급수배관의 개폐상태를 제어반에서 감시할 수 있는 스위치 2.설치위치 - 주펌프의 흡입측 배관에 설치된 개폐밸브 - 주펌프의 토출측 배관에 설치된 개폐밸브 - 유수검지장치, 일제개방밸브의 1,2차측의 개폐밸브 - 고가수조(옥상수조)와 주배관의 수직배관과 연결된 관로상의 개폐밸브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구성품 중 P.O.R.V(Pressure-Operated Relief Valve)의 작동방식과 기능

준비작동식 스프링클러설비 구성품 중 P.O.R.V(Pressure-Operated Relief Valve)의 작동방식과 기능 1.작동방식 : 기계적인 자동복구방식 2.기능 - 준비작동식밸브의 자동복구방지 기능 - 중간챔버 내부의 압력저하상태를 유지하는 기능 스프링클러헤드의 감도특성에 따른 분류 1.조기반응 2.특수반응 3.표준반응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