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형 1급 수신기의 기능 ⓐ 화재표시작동시험장치ⓑ 수신기와 감지기 사이의 회로도통시험장치ⓒ 예비전원 양부시험장치ⓓ 상용전원과 예비전원의 자동절환장치ⓔ 고장신호표시장치(중계기에 의한 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소방시설관리사 2024.09.30
소방펌프 에어락현상 원인 및 대책 1.이유 - 펌프 작동 중일때 공기 빼기밸브를 개방하면 대기 중 공기가 펌프로 인입되며, 압력계 눈금이 올라가지 않는다. 2. 대책ⓐ 수조 청소로 인한 흡입배관 공기인입일 경우 공기나 가스 배출ⓑ 펌프 흡입측 개폐표시형 밸브가 잠겨 있을 경우 개방함ⓒ 펌프 흡입측 여과기가 막힐 경우 여과기 청소ⓓ 펌프 흡입측 배관에 공기 흡입될 경우 배관 및 관 부속 연결부분 조임ⓔ 유효흡입양정 부족할 경우 실제 유효흡입양정 조사 소방시설관리사 2024.09.29
공기안전매트.피난사다리.(간이)완강기.미끄럼대.구조대 점검항목 ● 공기안전매트 설치여부● 공기안전매트 설치 공간 확보 여부● 피난사다리(4층 이상의 층)의 구조 (금속성 사다리) 및 노대 설치 여부● (간이)완강기의 구조 (로프손상방지) 및 길이 적정 여부● 숙박시설의 객실마다 완강기(1대) 또는 간이완강기(2개이상) 추가 설치 여부● 미끄럼대의 구조 적정여부● 구조대의 길이 적정 여부 소방시설관리사 2024.09.28
방염제품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 기술기준 중 방염제품에 표시하여야 하는 사항 ⓐ "방염제품"이라는 표시ⓑ 품명 및 성능인증번호ⓒ 제조연월 및 제조번호(또는 로트번호)ⓓ 제조업체명 또는 상호ⓔ 소재혼용률ⓕ 규격(크기, 길이, 폭 등)ⓖ 사용상 주의사항(세탁, 표백, 건조방법 등) 소방시설관리사 2024.09.27
스윙체크밸브와 스모렌스키 체크밸브 차이점과 용도 구 분스윙체크밸브스모렌스키 체크밸브작동원리(스윙형)유체 유입시 밸브 디스크가 지지점 핀을 중심으로 스윙하며 개방되고, 역류에 의해 시트면에 압착됨(리프트형)유체 유입시 수압에 의해 스프링을 밀어 소화수 유동되고 역류에는 미개방마찰손실스모렌스키에 비해 작음매우 큼펌프보호불가능가능(상부 버퍼에 의해 충격을 흡수함)용도* 고가수조 토출배관* 밸브 헤더* 펌프 압력감지배관* 송수구 배관* 가스계 소화설비 동관* 펌프 토출 측 배관( 수격으로부터 펌프 보호)바이패스없음있음 소방기술사 2024.09.26
방염성능기준 ㄱ.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며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 시간은 20초 이내일 것(잔염시간 : 20초 이내)ㄴ. 버너의 불꽃을 제거한 때부터 불꽃을 올리지 아니하고 연소하는 상태가 그칠 때까지 시간은 30초 이내일 것(잔진시간 : 30초 이내)ㄷ. 탄화한 면적은 50제곱센티미터 이내, 탄화한 길이는 20센티미터 이내일 것ㄹ. 불꽃에 의하여 완전히 녹을 때까지 불꽃의 접촉 횟수는 3회 이상일 것ㅁ.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한 방법으로 발연량을 측정하는 경우 최대연기밀도는 400이하일 것 소방시설관리사 2024.09.25
화재예방법상 특정소방대상물의 재실자들에게 피난유도안내정보 4가지 1. 연 2회 피난안내 교육을 실시하는 방법2. 분기별 1회 이상 피난안내방송을 실시하는 방법3. 피난안내도를 층마다 보기 쉬운 위치에 게시하는 방법4. 엘리베이터 , 출입구 등 시청이 용이한 장소에 피난안내영상을 제공하는 방법 소방시설관리사 2024.09.24
설치장소별 감지기 적응성(연기감지기를 설치할 수 없는 경우) 1) 먼지 또는 미분 등이 다량으로 체류하는 장소 (쓰레기장, 하역장, 도장실, 섬유.목재.석재 등 가공 공장) * 차동식 스포트형 감지기 1종, 2종* 차동식 분포형 감지기 1종, 2종* 보상식 스포트형 감지기 1종, 2종* 정온식 감지기 특종* 열아날로그식 감지기* 불꽃감지기 소방시설관리사 2024.09.23
감지기 설치기준 ⓐ 감지기(차동식 분포형 제외)는 실내로의 공기유입구로부터 1.5m 이상 떨어진 위치에 설치할 것ⓑ 감지기는 천장 또는 반자의 옥내의 면하는 부분에 설치할 것ⓒ 보상식스포트형 감지기는 정온점이 감지기 주위의 평상시 최고온도보다 20℃ 이상 높은 것으로 설치할 것ⓓ 정온식 감지기는 주방.보일러실 등으로 다량의 화기를 취급하는 장소에 설치하되, 공칭작동온도가 최고주위온도보다 20℃ 이상 높은 것으로 설치할 것ⓔ 스포트형 감지기는 45도 이상 경사되지 아니하도록 부착할 것ⓕ 바닥면적부착높이 및 소방대상물의 구분감지기의 종류차동식.보상식스포트형 정온식스포트형 1종2종특종1종2종4m 미만내화구조9070706020 기타구조50404030154m이상 8m미만내화구조45353530 기타구조30252515 소방시설관리사 2024.09.22
연기감지기 설치장소 1. 연기감지기의 설치장소 ⓐ 계단. 경사로 및 에스컬레이터 경사로 ⓑ 복도(30미터 미만 제외)ⓒ 엘리베이터 승강로(권상기실이 있는 경우에는 권상기실). 린넨슈트. 파이프 피트 및 덕트 및 기타 이와 유사한 장소ⓓ 천장 또는 반자의 높이가 15미터 이상 20 미터 미만인 장소ⓔ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특정소방대상물의 취침. 숙박. 입원 등 이와 유사한 용도로 사용되는 거실 ㄱ. 공동주택. 오피스텔. 숙박시설. 노유자시설. 수련시설 ㄴ. 교육연구시설 중 합숙소 ㄷ. 의료시설, 근린생활시설 중 입원실이 있는 의원. 조산원 ㄹ. 교정 및 군사시러 ㅁ. 근린생활시설 중 고시원 소방시설관리사 2024.09.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