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하루한문제,암기 소방관련 153

물분무 소화설비

고압의 전기가 있는 장소와 헤드 사이의 거리 전압(kv) 거리(cm) 전압(kv) 거리(cm) 66 이하 70 이상 154 초과 181이하 180 이상 66초과 77이하 80 이상 181 초과 220이하 210 이상 77초과 110이하 110 이상 220초과 275 이하 260 이상 110 초과 154 이하 150 이상 물분무 소화설비의 자동식 기동장치의 기동방식 1.자동화재탐지설비의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 개방방식 2.자동화재탐지설비의 감지기 작동방식

스프링클러헤드의 배치기준

설치장소 설치기준 폭 1.2m를 초과하는 천장.반자.천장과 반자 사이.덕트.선반,기타 이와 유사한 부분 무대부,특수가연물 수평거리 1.7m 이하 랙크식창고 수평거리 2.5m 이하 그 외의 소방대상물 기타구조 수평거리 2.1m 이하 내화구조 수평거리 2.3m 이하 아파트 수평거리 3.2m 이하 랙크식 창고 특수가연물 높이 4m 이하마다 기타의 장소 높이 6m 이하마다

퓨즈블링크형,유리벌브형 스프링클러헤드의 표시

퓨즈블링크형 유리벌브형(글라스벌브형) 표시온도 ℃ 프레임의 색별 표시온도 ℃ 액체의 색별 77미만 - 57 오렌지 78~120 흰색 68 빨강 121~162 파랑 79 노랑 163~203 빨강 93 초록 204~259 초록 141 파랑 260~319 오렌지 182 연한 자주 320이상 검정 227이상 검정 스프링클러헤드의 배치 1.헤드의 배치형태 정사각형(정방형)형 S=2Rcos45′ L=S 여기서, S: 수평헤드 간격(m) , R : 수평거리(m) L : 배관간격(m)

스프링클러 설비의 배관구분

1.주배관: 각 층을 수직으로 관통하는 수직배관 2.급수배관: 수원 및 옥외송수구로부터 스프링클러헤드에 급수하는 배관 3.수평주행배관: 교차배관으로 물을 공급하는 배관 4.교차배관: 직접 또는 수직배관을 통하여 가지배관에 급수하는 배관 5.가지배관 : 스프링클러헤드가 설치되어 있는 배관 6.수직배수배관 : 유수검지장치 또는 일제개방밸브가 설치된 층마다 물을 배수하는 수직배관

스프링클러 가압수조방식

1.가압송수장치의 설치기준 ⓐ가압송수장치의 정격토출력은 하나의 헤드선단에 0.1MPa 이상 1.2MPa이하의 방수압력이 될 수 있게 하는 크기일 것 ⓑ가압송수장치의 송수량은 0.1MPa(메가파스칼)의 방수압력 기준으로 80l/min(리터퍼미닛)이상의 방수성능을 가진 기준개수의 모든 헤드로부터 방수량을 충족시킬 수 있는 양 이상의 것으로 할 것.

폐쇄형 헤드의설치장소별 기준개수

스프링클러설비 특정소방대상물 폐쇄형기준개수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0층 이하인 소방대상물 공장 또는 창고 (랙크식 창고 포함) 특수가연물 저장 및 취급 30 그밖의 것 20 근린생활시설, 판매시설 및 운수시설 또는 복합건축물 판매시설 또는 복합건축물 (판매시설이 설치되는 복합 건축물) 30 그 밖의 것 20 그 밖의 것 헤드의 부착높이 8m 이상 20 헤드의 부착높이 8m 미만 10 아파트 10 지하층을 제외한 층수가 11층 이상인 소방대상물(아파트 제외), 지하가 또는 지하역사 30

스프링클러설비

정의 - 폐쇄형 스프링클러헤드 또는 감지기에 의해 화재가 감지되면 자동적으로 방호구역 또는 방수구역에 물을 살수하여 소화하는 설비 *스프링클러설비의 장점 및 단점 장 점 단 점 1.초기화재 진압에 적합하다. 2.소화약제가 물이므로 경제적이다. 3.화재감지부가 기계적으로 오보 및 오동작이 적다 4.설비의 조작이 간편하고 안전하다 5.화재 진화작업 후 복구가 간편하다 1.설비의 초기 설치비용이 크다. 2.다른 소화설비에 비해 비교적 시공이 복잡하다. 3.소화시 사용한 물로 인한 피해가 심하다 *펌프의 토출량 및 수원의 양 1.펌프의 토출량 #폐쇄형 스프링클러설비 Q=N*80l/min 이상 여기서, Q: 펌프의 분당 토출량 (리터퍼분) N: 폐쇄형 헤드의 기준개수(기준개수 보다 적은 경우에는 설치개수) 2.수..

옥외소화전설비의 소화전함

1.옥외소화전마다 그로부터 5m 이내의 장소에 소화전함을 설치 옥외소하전의 개수 소화전함의 설치개수 10개이하 소화전마다 5m 이내에 1개 이상 11개이상 30개 이하 11개의 소화전함 분산 설치 31개 이상 소화전 3개마다 1개 이상 2.옥외소화전설비의 소화전함 표면에는 "옥외소화전" 이라고 표시한 표지를 하고, 가압 송수장치의 조작부 또는 그 부근에는 가압송수장치의 기동을 명시하는 적색등을 설치할 것 #옥외소화전설비의 표시등 1.옥외소화전설비의 위치를 표시하는 표시등은 함의 상부에 설치하되, 소방청장이 정하여 고시한 ( 표시등의 성능인증 및 제품검사의 기술기준) 에 적합한 것으로 할 것 2.가압송수장치의 기동을 표시하는 표시등은 옥외소화전함의 상부 또는 그 직근에 설치되 적색등으로 할 것

옥외소화전설비의 배관 설치기준

1.호스접결구는 지면으로부터 높이가 0.5m이상 1m이하의 위치에 설치하고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하나의 호스접결구까지의 수평거리가 40m이하가 되도록 설치할 것 2.호스는 구경 65mm의 것으로 할 것 3.배관을 소봥용 합성수지배관으로 설치할 수 있는 경우 ⓐ배관을 지하에 매설하는 경우 ⓑ다른 부분과 내화구조로 구획된 덕트 또는 피트의 내부에 설치하는 경우 ⓒ천장(상층이 있는 경우에는 상층바닥의 하단 포함)과 반자를 불연재료 또는 준불연 재료로 설치하고 그 내부에 습식으로 배관을 설치하는 경우 4.펌프 흡입측 배관의 설치기준 ⓐ공기고임이 생기지 아니하는 구조로 하고 여과장치를 설치할 것 ⓑ수조가 펌프보다 낮게 설치된 경우에는 각 펌프(충압펌프 포함)마다 수조로부터 별도로 설치할것 5.급수배관은..

728x90
반응형